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ifconfig 를 통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과 확인 ifconfig 를 통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과 확인 안녕하세요 여러분. 지토우에요. ifconfig에 대해 배워보도록 합시다. 1. ifconfig 에 대하여 ifconfig는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가장 필수 유틸리티입니다. 그렇다면 ifconfig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이더넷 카드의 설정확인 이더넷 카드의 설정 변경 이더넷 카드의 활성화 or 비활성화 이더넷 카드의 MTU 등과 같은 옵션값들 변경 이더넷 카드의 네트워크 설정 즉 ifconfig 는 현재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서버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NIC, 랜카드)가 있어야 가능한데요. 이것을 설정,변경,확인하는 명령어 이므로, 이더넷카드 설정유틸리티라.. 더보기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을 이용한 IP 설정과 네트워크 재설정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을 이용한 IP 설정과 네트워크 재설정 1. /etc/sysconfig/network 시스템 호스트네임 설정과 기본게이트웨이를 설정하기 위한 파일입니다. 2. /etc/resolv.conf DNS 서버를 지정하기 위한 설정이 존재합니다. 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lo ifcfg-lo 파일은 현재 이 시스템의 자기자신과 통신을 하기 위한 루프백 이더넷 설정파일입니다. 설정내용은 거의 고정되어 있고 시스템관리자가 별도로 설정할 일은 없습니다. 다만 만약 lo라는 루프백 이더넷이 사라졌거나 정상적 작동이 되지 않을 때 이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면 됩니다. 4.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이더넷장치 .. 더보기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 파일 이해 리눅스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 파일 이해 안녕하세요 지토우에요. 다들 감기 조심하세요. 저는 지금 감기로 끙끙 앓고있습니다 ... 집 가는 길에 죽을 사려고 해요. 이제는 제 몇장 뭐뭐 이렇게 쓰는게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냥 제가 아파서 그렇게 느끼는 걸수도 있구요... 모쪼록 오늘도 제 티스토리에 놀러와주셔서 정말정말 감사해요. 다들 아프지 마시고 행복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을 이해해보는 시간이에요. 네트워크 설정파일이라 함은 이더넷설정 관련파일, DNS 관련 설정파일 등에 대한 것이지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1. 기본게이트웨이 (Default Gateway) 설정파일 먼저 리눅스 서버의 게이트웨이, 호스트네임을 설정하는 파일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이 파일 내용은 .. 더보기
ping으로 알 수 있는 것 ping으로 알 수 있는 것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토입니다 오늘은 시간이 없어서...... 내일 수정해 다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1일 1포스팅 너무 지키기 어렵네요 흑흑 그래도 이해해주세요 사랑합니다... 1. ping 으로 알 수 있는 것 ping은 시스템관리자 뿐 아니라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Pc 사용자글도 대부분 잘 알고 있는 명령어 입니다. 사용하는 서버나 pc가 통신이 되지 않을 경우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쓰이는 가장 흔한 명령어이죠. 특히 특정 아이피나 도메인읗 가진 네트워크 잘비가 인터넷상에서 살아있는가를 확인하는 용도로 흔히 사용합니다. 핑테스트를 할 때는 뱔도의 옵션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1회 테스트를 할 때 사용되는 패킷의 크기는 56바이트 ( 실제로는 8바리트의 .. 더보기
넷마스크, 네트워크주소, 브로드캐스트, 게이트웨이 제 18장. 넷마스크, 네트워크주소, 브로드캐스트, 게이트웨이 안녕하세요. 지토우에요 !! 오늘은 넷마스크, 네트워크주소, 브로드캐스트, 게이트웨이에 대해 배워봅시다. 이들은 시스템 관리시에 굉장히 자주 언급되고 사용되므로 그 의미를 정확히 알아보아야 합니다. 오늘도 열심히 해봐요! ^^ 1. NetMask (넷마스크) 넷마스크란 하나의 네트워크를 몇 개의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할 때에 나눠진 각각의 네트워크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bit를 의미합니다. 정확한 표현은 "Subnet Mask" 입니다. 왜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개로 나눌까요? 바로 트래픽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그렇게 나눠진 각각의 네트워크들은 독립된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합니다. 즉, 넷마스크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2개 이상의.. 더보기
IP 주소란 ? 제 17장. IP 주소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토우에요. 군말 없이 바로 IP 주소에 대해 이야기 해봅시다 ! 1. IP 주소의 예 지난 시간에 IP 프로토콜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지요? 흔히 IP주소는 컴퓨터에 부여하는 것이라고 알고 계실텐데요. 그래서 전세계적으로 유일하게 구분될 수 있도록 공인 IP주소를 자신의 컴퓨터에 부여해 사용한다고 이야기 합니다. 사실 이것이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는 시스템 관리자이므로 더 정확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겠지요. 결론부터 말씀드릴게요. IP주소는 운영체제의 "이더넷드라이브(이더넷 카드에 있는 S/W)" 에 부여하는 것입니다. 컴퓨터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랜카드(Lan Card)" 라는 것이 있어야 하고 랜카드는 "NIC (Network Interface Ca.. 더보기
TCP/IP 프로토콜 네트워크 기초 제 16장. TCP/IP 프로토콜 네트워크 기초 안녕하세요. 지토우에요. 네트워크의 기초부터 차근차근 배워보도록 합시다. 1. 프로토콜 들어가기에 앞서, 제목부터 갸우뚱 거리실 수도 있습니다. 프로토콜이 뭐야? 하고 말이지요. 한 마디로 말하자면, 프로토콜이란 컴퓨터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입니다. 정신규약은 정보기기마다 상호간에 주고받은 접속, 전달방식, 통신방식 등에 대해 정하는 것인데요. 기종마다 다르기 때문에, 표준 프로토콜을 설정하여 통신망을 구축합니다. 대표적인 표준 프로토콜로는 오늘 배울 TCP/IP가 그 예에 해당합니다. 2. IP 프로토콜 IP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지요? IP 프로토콜은 "Internet Protocol"의 약어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처리할 .. 더보기
리눅스 시스템관리자가 반드시 네트워크를 알아야 할까? 제 15장. 리눅스 시스템관리자가 반드시 네트워크를 알아야 할까? 안녕하세요, 지토우에요. 오늘은 리눅스 시스템관리자와 네트워크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다른 리눅스 배포판도 그렇지만, 리눅스 시스템에도 네트워크에 관한 많은 명령어들과 유틸리티들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번 장부터 시작해서 한동안 리눅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설정과 관리에 대해 배워보도록 할텐데요. 그 당위성에 대해서, 리눅스 시스템관리자가 반드시 네트워크를 알아야 할까? 라는 질문의 답을 드리자면 저의 대답은 '당신의 선택에 달려있다.' 입니다. 사실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정방법들만 알고 있어도 시스템 관리자로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IP 설정이나 DNS 설정, 그리고 랜카드 드라이브 설정 등만 하더라도 시스템관리 업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