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C언어] 1차원 배열의 주소와 값의 참조 [C언어] 1차원 배열의 주소와 값의 참조 안녕하세요 지토우에요~이번엔 1차원 배열의 주소와 값의 참조에 대해 공부해봅시다. 1. &는 주소를 참조하는 연산자 우선, &에 대해 약간의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는 엠퍼센트라고 읽습니다.and를 대신하는 타이포그래픽 부호라고는 하는데,보통 c언어에서는 주소연산자라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를 사용하면 메모리 공간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는데요.다음 표를 봐주세요. 변수의 주소 참조 배열의 주소 참조 사용법 &변수 이름 &배열 요소 ex) int a=10;printf("%x \n", &a) // a의 주소 int array[2]={10,2}printf("%x \n", &array[0]); // array[0]의 주소printf("%x \n", &array[1]);.. 더보기 하드디스크 파티션 설정/관리를 위한 fdisk 하드디스크 파티션 설정/관리를 위한 fdisk 여러분 안녕하세요 !!! 지토우에요 !!! 오늘은 리눅스 서버관리자에게 필요한 디스크 파티션 작업의 일부를 배워봅시다. 1. fdisk 란 이 파티션 작업은 fdisk 라는 유틸리티를 이용해 작업하는데요. fdisk란 fixed disk 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fdisk 는 리눅스의 디스크파티션을 생성, 수정, 삭제 할 수 있는 유틸리티입니다. 사실 파티션 작업을 할 때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디스크의 파티션을 재수정해 저장하면 디스크에 존재하고 있던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므로 주의를 요하는데요. 이부분을 염두해두셔야 합니다.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파티셔닝(partitioning)이라고 합니다.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작업을 수행한다는 의미이지요. .. 더보기 이전 1 다음